ABOUT ME 

광활한 저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STORY

저는 흙수저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적 학교에 가면 제 옷에는 항상 담배냄새가 베여 있었습니다
백수가 된지 몇년째, 밤낮으로 게임하며 담배피는 아버지 때문이었습니다.
그런 아버지를 어머니도 포기해가는지
가끔 두 분이 소리지르며 싸우는 것도 점점 잦아들었습니다
제겐 그 침묵이 굉음보다 더 무서웠던 것 같습니다.

career

블로그 경력 7년(2017~ing)
에어비앤비 글로벌 CS 팀 2년6개월 (2018~2020)
검색 상위노출 마케팅 프리랜서 경력 3년 (2019~2022)
디자인 프리랜서 경력 1년 (2022~2023)
와인회사 디자이너 팀장 3개월 (2023.06)
광고기획 관리자로 스타트업 진행 (2023.06~2024.02)

2020년 7~8월 마케팅 프리랜서로 수입은 월 800을 달성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이제 그만 둬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Hobby

저는 배우는 것을 좋아합니다
배우면서 스트레스가 해소됩니다
모르는 게 있으면 책으로 먼저 배우려 합니다
책읽기가 취미라고 말하면 사람들은
고상한 척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그런 곤란함을 겪어서 밖에서는 누워서
유튜브나 보는 게 취미라고 말하곤 합니다


재 서재에는 다양한 분야 제가 배우고
싶은 분야의 책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 책들의 특징은 하나 같이
인덱스가 많이 붙어있다는 겁니다


저는 좋은 책은 절대 한번만 읽지 않습니다
체화될 때까지 이해가 될때까지
10번 20번은 반복해서 읽습니다
그래서 일년에 읽는 책의 양이
투자하는 시간에 비해 많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해도와 애정도는 남다릅니다

두번째 취미는 기록입니다
하루에 대한 기록 일기를 쓰기도 하고
배운 것을 응용해 아이디어를 만들기도 하고
생각,일기,마인드맵,복습,아이디어,등
멘탈관리와 자기계발 업무 생산성을 위해서
끊임없이 기록하고 평가하고 발전합니다
업무 프로젝트가 끝나면 업무 평가를 기본으로
더 부족한 점은 무엇이었는지 잘한 점은 무엇이었는지
등등 파악하는 용도로도 쓰고 있습니다

Personal Values

실행력

그릿

창의성

회복탄성

저는 '일단 행동하고 보자'는 모토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저를 뛰어난 실행력을 지닌 사람으로 성장시킵니다.어떤 아이디어든 신속하게 실천으로 옮기는 능력을 갖추게 만들었습니다.저는 프로젝트나 일상 속 작은 아이디어조차도 실제로 구현해보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차근차근 해결해나가는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이러한 실행 중심의 접근 방식은 저에게 여러 가지 이점을 가져다주었습니다. 첫번째로 빠른 결정과 신속한 행동은 저를 항상 앞서가게 만들었으며, 이는 곧 변화하는 환경에 재빠르게 적응하고, 새로운 기회를 선점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두번째로 실전을 통해 배운 교훈과 경험은 이론적 지식보다 훨씬 깊고, 오래 지속되는 학습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그릿은 엔젤라 더크워스가 연구한 책에서 나온 말로 현재는 통용되는 단어입니다. 한국말로 풀어쓰자면 장기적 목표를 향한 열정과 지속적인 노력의 결합을 일컷는 말입니다. 열정이 비포함된 참는다라는 느낌이 담긴 끈기와는 다른 말입니다.  저는 4년전 그릿을 처음읽었습니다. 그릿을 처음 읽은 그 순간부터  제 삶의 기준책으로 삼았으며 힘들때마다 읽곤합니다. 덕분에 처음에는 최저점이었던 그릿지수가 지금은 상위 10%에 자리잡았습니다.

그릿지수를 판단하는 척도는 여러 항목이 있지만 제가 많이 발전한 항목은 나는 실패해도 실망하지 않는다,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나는 몇개월 이상 걸리는 일에 계속 집중할 수 있다,나는 어떤 아이디어나 프로젝트를 완수할 때까지 지속한다, 나는 좌절을 딛고 중요한 도전에 성공한 적이 있다 등의 항목이었으며 한가지 목표에 대한 지속성 부분에서 지난 4년간 큰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저는 창의적입니다 창의성은 어디에서 나올까요?크리에이티브 커브라는 책에서 읽은 내용을 인용하자면 창의성은 지능의 영역보다는 인지의 영역이라고 합니다 연구실에서 연구만하다가 목욕을 하러 갔을 때 혹은 수학문제를 풀다가 미술품을 보러 갔을 때해결책이 떠올랐다는 케이스를 한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창의성이랑 한 문제에 대해 계속 다양한 시점으로 생각해보는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항상 창의성을 개발 하기 위해 하나의 문제로 다양한 자료 다양한 서적을 보며 다양한 시점으로 사고하고자 노력합니다

회복탄력성은 말그대로 실패하고 좌절하고 떨어졌을 때 복귀하기 까지의 시간이 얼마나 소요되는지 능력을 따지는 것입니다 저의 경우 학창시절때 저는 연약한 우등생이었습니다 실패에 쉽게 좌절했습니다 실패가 두려웠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제 실패가 두렵지 않습니다실패를 한다고 해서 좌절하지 않습니다 실패를 분석하고 접근방식을 달리해서 묵묵히 목표를 향해 다르게 도전해볼 뿐입니다

1% 확률로 이기는 게임에
100%확률로 이기는 방법은
무한대로 무료 도전권을 얻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저는 그 도전권을 지닌 사람이고요